티스토리 뷰
# 메이븐 레파지토리 경로 변경
기본 설정은 C:/Users/계정명/ 에 숨은 폴더로 존재하는데 PC를 포맷하거나 개발 소스를 외장하드에 들고다니며 회사와 집에서 공통으로 쓰고자 할 때 가끔 메이븐 레파지토리 때문에 에러가 나거나 로딩하는데(실제로는 다운로딩)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나는 외장하드에 STS, JAVA, TOMCAT, SQLDeveloper, 메이븐 레파지토리를 전부 담고 다닌다. 따라서 STS에서도 메이븐 레파지토리의 경로를 외장하드로 변경하기 위함이다.
어딘가에다가(바탕화면 혹은 외장하드의 최상위 폴더 등) settings.xml 이란 파일을 만들고 아래의 내용을 복사해서 붙여넣는다.
그리고 설정하고자 하는 경로를 <localRepository>에 설정하고 내용을 저장한다.
# 주요 환경설정
메뉴 -> Window -> Preferences 에서 아래의 것들을 설정
1. General -> Show heap status 체크
2. General -> Editors -> Text Editors -> Show line numbers 체크
3. General -> Web Browser
- use external web browser 선택
- External web browsers는 원하는 것으로 선택(요즘은 거의 크롬이죠)
4. General -> Worksapce -> Text file encoding을 Other: UTF-8로 선택
5. Maven -> User Settings -> User Settings의 경로를 위에서 설정한 setting.xml으로 변경 후 Update Settings 클릭
6. Web -> CSS, HTML, JSP Encoding을 UTF-8로 변경
=>이렇게 하면 새로 생성되는 모든 CSS, HTML, JSP 파일의 인코딩을 UTF-8로 생성하게 됨
# STS.ini 파일의 환경변수 설정
-vm
D:/Files/work/tools/Java/jdk1.8.0_102/bin/javaw.exe
-vmargs
-Dosgi.requiredJavaVersion=1.8
-Xms512m
-Xmx512m
-XX:PermSize=256M
-XX:MaxPermSize=512M
-Xverify:none
이 내용을 추가해줬다.
단 위 메모리 설정은 메모리가 4기가 이상일 때에 권장한다.
'Spring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수동설치 (1) | 2018.05.10 |
---|---|
lombok 설정해도 제대로 안 될때! (0) | 2018.05.10 |
Maven 프로젝트에서 Custom Jar파일 추가하기 (0) | 2018.04.04 |
No mapping found for HTTP request with URI 에러 원인 (0) | 2017.10.11 |
fileupload 기능 개발 중 ERR_CONNECTION_RESET 에러 날 경우 (1) | 2017.08.24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
- spring
- svn
- redisson
- 아파치 톰캣 연동
- AES Decryption
- STS
- 마스킹
- Oracle
- AWS KMS
- 휴대폰번호 마스킹
- redissonclient
- SSL
- Eclipse
- apache
- AES 복호화
- AES 암호화
- AES with AWS KMS
- 자바 정규식
- AES Encryption
- 이클립스
- Java
- 톰캣
- 오라클
- jvm특징
- 클래스로더
- 아파치
- RegExp
- commit
- Tomca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